
성상세포 활성화와 JAK2 억제 효과
문서 정보
학교 | 아주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
전공 | 의학 |
문서 유형 | 석사학위 논문 |
언어 | Korean |
형식 | |
크기 | 827.33 KB |
요약
I.연구 목적 및 배경 뇌손상 후 성상세포 astrocyte 의 과도한 활성화 activation 및 증식 proliferation 억제 연구
본 연구는 뇌손상(뇌졸중, 외상 등) 후 발생하는 **성상세포(astrocyte)**의 과도한 활성화(activation) 및 **증식(proliferation)**이 신경재생을 저해하는 astrogliosis 과정에 JAK2/STAT 신호전달 경로가 관여함을 규명하고, **JAK2 저해제(JAK2 inhibitor)**인 AG490을 이용하여 이를 억제할 수 있는지 in vivo 및 in vitro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습니다. GFAP 발현 증가를 astrogliosis의 주요 지표로 삼았습니다. 기존 연구에서는 JAK2의 역할이 불명확하였으나, 본 연구는 JAK2 **저해제(inhibitor)**의 효과를 in vivo 모델에서 직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했습니다.
1. 뇌손상 후 성상세포의 역할과 연구의 필요성
뇌손상(외상, 뇌졸중 등) 후 성상세포는 활성화되고 증식하는데, 이는 GFAP 발현 증가로 확인됩니다. 이러한 astrogliosis는 초기에는 신경세포 재생에 보호 효과를 보이지만, 만성적으로 지속될 경우 오히려 신경세포 재생을 방해합니다. 활성화된 성상세포는 다양한 사이토카인과 염증 물질을 분비하며, 이 과정에 JAK2/STAT 경로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존 연구에서는 JAK2 경로 차단을 통한 astrogliosis 억제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in vivo 모델에서의 효과 및 특히 성상세포 증식에 대한 JAK2의 역할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in vivo 및 in vitro 모델을 통해 뇌손상 후 성상세포의 활성화 및 증식에 대한 JAK2의 역할을 규명하고, JAK2 저해제 AG490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신경계 손상 치료 및 신경 재생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제시하기 위함입니다.
2. JAK2 STAT 경로와 astrogliosis의 연관성
성상세포의 활성화 및 증식 과정에서 JAK2/STAT 신호전달 경로의 중요성은 이미 여러 연구를 통해 제시되었습니다. JAK2는 Janus kinase family에 속하는 cytoplasmic tyrosine kinase이며, 인터페론 감마 시그널 수용체 등 다양한 G-protein coupled receptor를 통해 JAK/STAT pathway를 활성화시킵니다. JAK2는 세포 내 신호 전달 과정에 관여하며, STAT은 신호 전달 및 전사 활성인자로 작용합니다. JAK2 경로의 활성화는 사이토카인과 염증 물질 분비를 유도하며, 이는 astrogliosis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합니다. 하지만, in vivo 환경에서 JAK2 경로 차단이 astrogliosis 억제에 미치는 영향과, 특히 성상세포 증식에 대한 JAK2의 직접적인 역할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기에 본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야 할 부분입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JAK2 저해제를 이용한 치료 전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3. 본 연구의 목적 및 기대 효과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in vivo 및 in vitro 실험을 통해 뇌손상 후 성상세포의 과도한 활성화와 증식을 조절하는 JAK2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입니다. 특히, JAK2 저해제 AG490을 이용하여 뇌손상 후 나타나는 astrogliosis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고 그 기전을 분석하고자 합니다. in vivo cortical stab wound 모델을 이용하여 AG490의 전신 투여가 astrogliosis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 in vitro 배양 성상세포에서 thrombin으로 유도된 증식 과정에서 AG490의 효과를 관찰함으로써, JAK2 저해가 성상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합니다. 또한 wound-healing model을 통해 AG490이 성상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뇌손상 후 신경세포 재생을 저해하는 astrogliosis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궁극적으로는 뇌졸중이나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II.재료 및 방법 in vivo 및 in vitro 실험 모델 및 분석 방법
in vivo 실험에는 대뇌피질 stab wound(칼로 찌른 상처) 뇌손상 모델을 사용하여 AG490을 투여하였고, in vitro 실험에는 배양 **성상세포(astrocyte)**를 이용하여 thrombin으로 **증식(proliferation)**을 유도하고 AG490의 효과를 관찰했습니다. GFAP, BrdU 면역조직화학염색, Western blot, MTT assay, scratch wound assay 등 다양한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성상세포(astrocyte)**의 활성화(activation), 증식(proliferation), 이동을 평가했습니다.
1. in vivo 실험 모델 대뇌피질 stab wound 모델
in vivo 실험에서는 뇌혈관 장벽 파괴를 유발하는 대뇌피질 stab wound 모델을 사용했습니다. 11번 칼날을 이용하여 대뇌 피질에 일정한 깊이의 상처를 만들어 뇌손상을 유도하였습니다. 뇌혈관 장벽 파괴 여부는 2% Evan's blue를 정맥 주사하여 확인했습니다. 손상 4시간 전과 손상 3일 후 두 차례에 걸쳐 JAK2 저해제인 AG490을 5mg/kg의 용량으로 복강 내 주사하여 AG490이 뇌손상 후 성상세포의 활성화(GFAP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했습니다. 7일 후 뇌를 적출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GFAP 발현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이를 통해 AG490이 in vivo 조건에서 astrogliosis 억제에 효과적인지 확인하고자 하였습니다.
2. in vitro 실험 모델 배양 성상세포 및 실험 조건
in vitro 실험에는 생후 1~3일 된 ICR 신생쥐의 대뇌 피질에서 분리한 성상세포를 사용했습니다. Trypsin 처리 후 원심분리하여 세포 현탁액을 제작하고, 10% fetal bovine serum과 10% horse serum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했습니다. 배양 7일차에 미세아교세포(microglia)를 제거한 후 실험에 사용했습니다. 성상세포 증식 유도를 위해 thrombin을 0.3U/ml, 1U/ml, 3U/ml 농도로 처리하고, JAK2 저해제인 AG490은 3μM, 10μM, 30μM 농도로 30분 전처리하였습니다. 배지는 serum이 없는 MS 배지, 1% serum 배지, 10% serum 배지를 사용하여 serum 농도에 따른 성상세포 증식에 대한 AG490 효과를 비교 분석했습니다.
3. 분석 방법 면역조직화학 Western blot MTT assay scratch wound assay
성상세포의 활성화와 증식 변화는 형광면역조직화학 검사법을 이용하여 측정했습니다. GFAP (1:400)과 BrdU (1:400) 항체를 사용하여 염색하고 confocal laser microscopy로 관찰했습니다. 성상세포의 JAK2 활성화 변화는 Western blot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세포 생존율은 MTT assay를 통해 측정하였습니다. 성상세포의 이동성은 in vitro scratch wound model을 이용하여 관찰했습니다. 10μM tip을 사용하여 세포에 일정한 흠집을 내어 wound를 만들고, 시간 경과에 따른 성상세포의 이동을 GFAP 염색을 통해 관찰했습니다. 모든 실험 결과는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유의성을 검증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in vivo와 in vitro에서 AG490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했습니다.
III.결과 AG490의 성상세포 astrocyte 활성화 activation 및 증식 proliferation 억제 효과 확인
in vivo 실험 결과, AG490 투여는 대뇌피질 stab wound 모델에서 astrogliosis(GFAP 발현 증가)를 현저히 감소시켰습니다. in vitro 실험에서 thrombin에 의해 유도된 성상세포(astrocyte) **증식(proliferation)**은 AG490의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습니다. 또한, scratch wound assay를 통해 AG490이 **성상세포(astrocyte)**의 이동성에도 영향을 미침을 확인했습니다. Serum 의존적인 성상세포(astrocyte) **증식(proliferation)**에 대한 AG490의 효과도 관찰되었습니다.
1. in vivo 실험 결과 AG490의 astrogliosis 억제 효과
대뇌피질 stab wound 모델에서 AG490을 투여한 결과, 손상 후 나타나는 astrogliosis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GFAP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손상 부위의 GFAP 발현 감소로 확인되었으며, AG490 단독 투여군에서는 GFAP 염색이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대조군(뇌손상만 유발)에서는 손상 부위에서 GFAP 발현 증가와 성상세포의 형태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AG490 전처리 및 후처리 군에서는 손상 부위의 GFAP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고 형태 변화가 완화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AG490이 in vivo 조건에서도 성상세포의 활성화 및 astrogliosis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시사합니다. 이는 JAK2가 astrogliosis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AG490이 이를 통해 작용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시사하는 결과입니다.
2. in vitro 실험 결과 AG490의 성상세포 증식 억제 효과
in vitro 실험에서는 배양 성상세포에 thrombin을 처리하여 증식을 유도하고, AG490의 효과를 관찰했습니다. Thrombin 1U/ml 처리군에서 성상세포 증식이 증가하였고, AG490 전처리 시 thrombin으로 유도된 성상세포 증식이 AG490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습니다. 특히, AG490 10μM 및 30μM 처리군에서 유의미한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이는 AG490이 성상세포의 증식을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또한, Serum이 없는 배지(MS)에서는 성상세포 증식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고, 1% serum 및 10% serum 배지에서는 serum 농도에 비례하여 증식이 증가했습니다. 이는 성상세포 증식에 serum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이러한 serum 의존적인 증식에 대한 AG490의 억제 효과도 함께 검증되었습니다.
3. in vitro scratch wound assay 결과 AG490의 성상세포 이동 억제 효과
scratch wound assay 결과, AG490 처리 시 성상세포의 이동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wound healing 과정에서 성상세포의 이동에 대한 AG490의 억제 효과를 보여줍니다. 10% serum 배지에서 손상 부위가 대부분 성상세포로 채워지는 것을 관찰하였고, AG490 10μM 및 30μM 처리 시 이러한 성상세포의 이동이 유의미하게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AG490이 성상세포의 증식 뿐 아니라 이동에도 영향을 미치며, astrogliosis의 형성 과정 자체를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다른 JAK2 저해제(J2I)를 사용한 실험에서는 AG490과 같은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는 점도 중요한 결과입니다. 이는 AG490의 특이적인 효과 또는 작용 기전을 시사하며 추가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IV.결론 JAK2 저해제 JAK2 inhibitor AG490을 이용한 astrogliosis 치료 가능성 제시
본 연구는 **JAK2 저해제(JAK2 inhibitor)**인 AG490이 in vivo 및 in vitro 실험 모두에서 뇌손상(뇌졸중, 외상 등) 후 **성상세포(astrocyte)**의 활성화(activation) 및 증식(proliferation),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보여줍니다. 이는 AG490이 astrogliosis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후보 물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AG490의 작용 기전에 대한 추가 연구와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1. JAK2 저해제 AG490의 효과 요약 및 의의
본 연구는 in vivo 및 in vitro 실험을 통해 JAK2 저해제 AG490의 뇌손상 후 성상세포 활성화 및 증식 억제 효과를 명확히 밝혔습니다. in vivo cortical stab wound 모델에서 AG490은 astrogliosis의 주요 지표인 GFAP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in vitro 실험에서는 thrombin으로 유도된 성상세포 증식을 AG490의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했습니다. 특히, AG490 10μM과 30μM 농도에서 유의미한 증식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습니다. 이는 AG490이 성상세포의 증식을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강력히 시사합니다. 또한, scratch wound assay를 통해 AG490이 성상세포의 이동성까지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여, AG490이 astrogliosis 형성 과정 전반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AG490이 astrogliosis 치료제 개발에 대한 중요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2. astrogliosis 치료 전략으로서의 JAK2 저해의 가능성
본 연구 결과는 뇌손상 후 과도한 성상세포 활성화 및 증식으로 인한 astrogliosis를 JAK2 저해제 AG490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제기되었던 JAK2/STAT 경로의 astrogliosis 관여를 in vivo 및 in vitro 실험을 통해 직접적으로 증명한 것입니다. 특히, 성상세포 증식에 대한 JAK2의 직접적인 역할을 규명하고, AG490의 농도 의존적인 억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JAK2 저해를 통한 astrogliosis 치료 전략의 타당성을 높였습니다. 다만, 다른 JAK2 저해제에서는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은 AG490의 특이적인 작용 기전을 암시하며, 향후 AG490의 작용 기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3. 향후 연구 방향 및 임상적 시사점
본 연구의 결과는 AG490이 astrogliosis 치료제 개발의 유망한 후보 물질임을 제시하지만, 임상 적용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AG490의 작용 기전에 대한 더욱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약물 작용의 특이성과 효과를 더욱 명확히 규명해야 합니다. 또한, AG490의 안전성 및 in vivo에서의 장기간 효과, 다양한 뇌손상 모델에 대한 적용 가능성 등을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합니다. 이러한 후속 연구들을 통해 AG490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 실제 뇌손상 환자 치료에 적용 가능한 최적의 투여 방법 및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향후 연구의 중요한 목표입니다. 본 연구는 뇌손상 후 신경 재생을 저해하는 astrogliosis 억제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